
인천시가 최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에 발맞춰 지역 수출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
시는 31일,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대미 수출기업에 대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기존 15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수출시장 다변화와 금융 리스크 완화 등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예고가 있었던 지난 4월부터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상공회의소 등과 공동으로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를 구성해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과 수출기업 애로사항 접수, 산업계와의 긴밀한 소통을 이어왔다.
또한 5월과 6월에는 시중은행과 협력해 총 3100억 원 규모의 인천형 특별 경영안정자금을 공급하는 등 중소기업 자금난 해소에 주력해 왔다.
특히 지난달 14일부터는 대미 수출기업의 유동성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1500억원의 긴급 자금을 별도로 편성해 운용 중이다.
현재까지 47개 기업에 총 232억원이 지원됐으며, 남은 자금과 더불어 최대 500억원을 추가 확보해 향후 수요 증가에도 대비할 계획이다.
관세 협상 타결로 인해 25%의 상호관세 부과는 피했지만, 한미 FTA의 무관세 혜택이 사실상 종료되면서 관련 업계의 부담은 불가피하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자금 지원은 물론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도 병행해 추진하고 있다.
오는 8월에는 프랑스, 호주 등 10개국 해외 바이어를 인천에 초청해 지역기업 100여 개사와 수출상담회를 개최하며, 관세 여파가 예상되는 뷰티·식품산업을 중심으로 베트남, 인도 등에서의 해외 전시회 및 현지 상담회 참가도 적극 지원한다.
아울러 관세 부담 증가로 수출 리스크가 커진 기업들을 위해 수출신용보증과 수출보험 등 금융 지원 확대도 검토 중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관세 협상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를 통해 면밀히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겠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반영하는 맞춤형 대응 전략을 통해 수출기업의 위기 극복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