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정복 인천시장이 인천의 미래 성장 동력을 담은 핵심 현안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다.
유 시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와의 간담회를 갖고, 인천시 3대 주요 현안에 대한 국비 반영을 강력히 건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유 시장은 인천이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공항과 항만, 경제자유구역을 갖춘 대한민국의 교통·물류 중심지임에도 불구하고, 서울 및 지방을 잇는 동서·남북 교통축 인프라가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천발 KTX 직결 사업 ▲광역급행버스(M버스) 준공영제 전환 및 국비 지원 ▲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등 3대 핵심 사업의 시급성과 당위성을 설명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유 시장은 특히 인천발 KTX 직결 사업에 대해 “수도권과 지방을 연결하는 국가교통망 균형발전 차원에서 반드시 추진돼야 할 사업”이라며, “물류 및 인적 이동 효율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천을 통해 국내에 입국하는 해외 이동객이 전체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만큼, 신종 감염병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감염병 전문병원’ 건립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유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확인했듯, 감염병 초기 대응역량 확보는 국가 방역안보의 핵심”이라며, “인천이 국가 방역망의 전초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어 광역급행버스(M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준공영제 전환과 국비 투입도 건의했다.
그는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선 지속가능한 운영모델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협력을 요청했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에 건의한 사업들은 인천시만의 문제가 아닌,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을 위한 국가적 과제”라며, “인천의 중장기 발전은 곧 국가균형발전의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정책성과뿐 아니라 재정 확보에도 전방위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2026년까지 행정체제 개편, 교통망 확충, 감염병 대응 체계 고도화 등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내년도 국비 확보 목표액을 6조 5000억원 이상으로 설정하고, 기획재정부의 예산안 심의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돌입했다.
시는 오는 9월 국회 제출 이후 ‘국비확보상황실’을 중앙협력본부 내에 운영하고, 국회 예산심의 전 과정에 걸쳐 실시간 대응체계를 유지하며 예산 통과까지 총력 대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