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구나 농구 같은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갑자기 신체가 크게 회전하면서 다리가 과도하게 비틀어지기도 한다. 이때 충격이 클 경우, 무릎 관절을 잇고 있는 전방십자인대에 파열이 생길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순간에는 무릎에서 ‘투둑’ 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무릎에 통증이 느껴진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빠르게 감소하여 전방십자인대파열을 무릎 염좌로 오인하고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파열된 전방십자인대를 장기간 방치하면 무릎 관절에 과부하를 일으켜 무릎 연골에도 손상이 진행될 수 있으니 치료를 미루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활동 전에 준비 운동을 충분히 해야 하며, 스포츠 활동 중에는 격렬한 동작을 피해야 한다. 그리고 무릎에 큰 충격이 가해진 후에 무릎에 통증 및 부종, 관절 불안정증과 같은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면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방십자인대의 파열이 경미한 편에 속하는 환자는 약물 복용 및 주사 요법,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의 여러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방십자인대 조직 중 절반 이상이 파열되었거나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경우에는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인 재건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오래 방치된 만성 전방십자인대파열은 인대 재건술을 하더라도 다시 재수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특히 축구나 농구와 같은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계속 하거나 빠른 운동 복귀, 재활치료 부족, 혈액순환 장애, 부상 등이 조직이 재파열되는 원인이 된다. 전방십자인대의 재파열은 첫 부상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전방십자인대가 내부 조직들로부터 서서히 압박을 받으면서 조금씩 손상되어 결국 제 기능을 못 하게 되는 사례가 흔하다. 이런 경우 무릎 연골 파열과 같은 동반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큰 편이니 조심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의 경우 사전에 꼼꼼한 이학적 검사 및 MRI 판독이 이뤄져야 한다. 재재건술은 일괄적인 방법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의료진의 충분한 경험이 요구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