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연구원(원장 박호군)은 올해 정책연구 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생활권계획 수립 및 운영 방안 연구 결과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올해 2월 개정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계획법)에 따라 법정계획으로 신설된 생활권계획의 제도화와 실행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인천시는 이 보고서를 토대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도시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생활권계획의 체계적 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생활권계획은 기존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의 중간 단계 역할을 하며, 지역별 특성과 행정구조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계획 체계를 갖추는 것이 목표다.
인천시는 광역시 중 가장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으나 그동안 2단계 도시계획(도시기본계획-도시관리계획)으로 운영되며 시민의 실제 생활권 관리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생활권’을 중심으로 도시공간을 재구조화하고, 자치구 중심의 계획 수립을 제안했다.
생활권은 권역생활권(대생활권), 지역생활권(중생활권), 일상생활권(소생활권)으로 세분화해 보행과 자전거로 접근 가능한 생활 단위부터 광역 기반시설이 집적된 중심지까지 아우른다.
단순 공간계획을 넘어 주민참여단 구성, 지역 이슈 도출, 미래 비전 설정, 생활 인프라 배치 등 실행 중심의 절차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계획 주요 항목으로는 인구 배분, 생활SOC 확충, 주택·교통·녹지 계획, 지역 특화사업 발굴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도시 내 불균형을 해소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인천연구원 이종현 선임연구위원은 “앞으로 인천시 생활권계획 수립을 통해 시민 참여 기반의 계획체계가 마련되고, 시민 삶의 질이 향상될 시민 체감형 도시계획이 완성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