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정복 인천시장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행정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천시는 29일, 지적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AI 기반 i-지적업무편람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적업무는 법령과 절차가 복잡하고, 담당자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동일 사안의 처리 결과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 시민 불편으로 이어져 왔다.
이에 유 시장은 기존의 단순 검색 방식에서 벗어나, ChatGPT 기반의 문답형 지식체계를 도입해 군·구 실무자가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행정 보조 시스템 구축을 지시했다.
시는 오는 9월부터 12월까지 지적업무 자료 체계적 수집·정리, ChatGPT 학습 및 문답형 데이터 구축, 市·군·구 전담팀(TF) 운영, 실무 검증·테스트 과정을 거쳐 12월 정식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방대한 지적 자료를 실시간으로 검색·해석하고, 관련 근거까지 연계된 질의응답을 제공해 업무 정확도와 신뢰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군·구 담당자의 숙련도 차이에 따른 행정 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시민이 체감하는 행정서비스 수준도 한층 향상될 전망이다.
유정복 시장은 “AI 기반 ‘i-지적업무편람’은 단순한 행정 자료 검색을 넘어, 현장에서 곧바로 적용 가능한 실질적 행정 혁신 모델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행정 효율성과 신뢰성을 강화해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지역 사회 안팎에서는 이번 사업을 두고 “유정복 시장의 선제적 판단과 강력한 추진력이 만든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이번 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경우, 인천시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AI 행정혁신 모델을 실현한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 프로젝트의 파급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한 도시행정 전문가는 “지적업무는 전국 모든 지자체가 안고 있는 난제”라며 “인천시의 AI 행정혁신이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면, 다른 지자체로 확산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결국 이번 ‘i-지적업무편람’은 단순히 인천시만의 혁신에 그치지 않고, 대한민국 지방행정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정복 시장의 리더십이 인천을 넘어 전국 행정 혁신을 견인하는 촉매제가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