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오는 2026년 7월 시행되는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을 앞두고 시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9일 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과의 업무협약식에서 유정복 시장은 “시민이 체감하는 행정 안정성이 최우선”이라며 강한 리더십을 과시했다.
이번 협약은 지방세, 주민전산 등 397종 행정정보시스템에 포함된 약 85억 건의 표준코드를 새로운 행정체제에 맞게 전환하고, 개편 이후 민원, 세금, 생활 행정 서비스가 중단 없이 제공되도록 긴밀히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은 지난해 제정된 인천시 제물포구·영종구 및 검단구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존 중구·동구·서구가 각각 제물포구·영종구·검단구로 개편되며, 서구는 서해구로 명칭이 변경된다.
전례 없는 통합·분리·조정·명칭 변경이 동시에 진행되는 만큼 데이터 전환 작업의 중요성이 크다.
협약식에서 유정복 시장은 “이번 데이터 전환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지능정보화 시대 시민 생활 안정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라며 “각 분야에서 꼼꼼하게 준비해 시민 불편이 없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박덕수 한국지역정보개발원장은 “전환 대상 시스템들은 시민들의 일상과 직결돼 있다”며, “인천시 전임 행정부시장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안정적인 전환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데이터 전환, 인프라 구축, 프로그램 개발, 모의훈련, 실제 전환, 사후 안정화까지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한다.
아울러 개편 정보를 네비게이션, 배달, 모빌리티 등 생활 밀접 민간 서비스와 연계해 시민이 자연스럽게 새 행정체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유정복 시장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정적 행정체제 출범을 위해 마지막까지 빈틈없이 준비할 것”이라며,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행정 준비의 완성도와 시민 중심 행정 구현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