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주요 대형건설사에서 최근 5년간 산업재해가 급증하면서 23명의 노동자가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재 발생이 해마다 늘고 있음에도 실질적인 안전관리 개선이 이뤄지지 않아 ‘안전불감증’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근로복지공단과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천 지역 산재신청 상위 10개 건설사의 최근 5년간 산업재해 건수는 총 1661건, 사망자는 23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10개사의 산재 건수는 지난 2021년 156건에서 지난해 475건으로 불과 3년 만에 3배 이상 폭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인천 전체 건설업 산재 승인 건수(8778건)의 18.9%에 해당하는 규모로, 일부 대형사가 지역 산재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개별 기업별로 보면 대우건설이 5년간 290건의 산재와 5명의 사망자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연평균 58건으로 거의 매주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지난 2021년 54건에서 올해 74건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현대건설은 같은 기간 258건의 산재와 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지난 2021년 15건에서 지난해 84건으로 5배 이상 급증했다.
한화건설은 총 224건 중 130건이 지난해에 집중돼 일시적인 안전관리 부실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에 본사를 둔 포스코이앤씨는 산재 건수(130건)로는 7위였지만, 사망자 수가 5명으로 가장 많아 재해의 치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10개사의 산재 사망률은 1.4%(1661건 중 23명)로, 인천 전체 건설업 평균 사망률 1.3%를 웃돌았다.
이는 대형 건설사일수록 사고 위험이 더 높은 구조적 문제를 보여준다.
전반적인 인천 건설현장 안전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 건설업 사고사망자는 지난 2021년 417명에서 올해 328명으로 감소했지만, 인천은 같은 기간 23~24명 수준을 유지하며 제자리걸음을 했다.
이에 따라 전국 사망자 중 인천의 비중은 지난 2021년 5.5%에서 올해 7.3%로 상승했다.
사망사고의 60% 이상이 ‘추락’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나 기본적인 안전조치 미비가 여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천 건설업 사망자 99명 중 59명이 추락으로 숨졌으며, 이는 안전발판이나 난간 설치 등 기초적인 조치만으로도 예방 가능한 사고였다.
부상자 중에서도 추락이 26.9%(1762명)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구가 28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수구(17명), 중구(13명), 남동구(11명), 미추홀구(10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 건설현장이 집중된 서구와 연수구에서 전체 사망자의 45.5%가 발생했다.
허종식 의원은 “자본과 인력을 갖춘 대형 건설사가 오히려 인천 지역 산재를 주도하고 있다”며 “사망사고의 60%가 기본적인 안전수칙만 지켜도 막을 수 있는 추락사라는 점에서 안전불감증이 매우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산재가 급증하는 상위 건설사와 사고 다발 지역에 대한 특별감독을 즉각 강화해야 한다”며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