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서울 삼성동 거리를 거닐며 ‘깐부치맥’을 즐기는 장면이 화제가 됐다. 이어 삼성, 현대, SK, 네이버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엔비디아와 AI 협력 계획을 발표하며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한국이 AI 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순간, 이상하리 만큼 조용한 이름이 하나 있었다. 바로 LG였다. 이번 APEC에서도 LG는 대형 발표나 외교적 이벤트 없이, 여느 때처럼 묵묵히 뒤편을 지켰다.
LG의 행보는 언제나 실용적이다. 통신망과 시스템 지원, 지역 홍보 협력 등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묵묵히 역할을 맡으며 실무 중심으로 움직였다. ‘무대 위 조력자‘로서 주연 자리 대신 내실을 구하는 모습이었다.
삼성은 ‘AI Everywhere’, SK는 ‘AI로 사회적 가치를 확장한다’, 현대는 ‘Physical AI Mobility’를 내세우며 각자의 AI 비전을 적극적으로 내보였다. 반면 LG는 기술적 역량에서는 뒤처지지 않지만, 이번 APEC에서 AI 철학이나 비전을 대놓고 드러내진 않았다.
LG AI연구원은 2021년 국내 최초 초거대 언어모델 ‘엑사원(EXAONE)’을 선보인 이후, 4.0 버전까지 발전시켰다. LG CNS는 기업용 AI 플랫폼을 상용화했고,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전반에 AI를 접목하고 있다.
LG전자와 LG이노텍은 엔비디아와 손잡고 피지컬 AI, 디지털트윈,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으로 영역을 확장 중이다. 기술력만 놓고 보면 LG는 한국에서 손꼽히는 AI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의 인식 속 LG는 여전히 ‘가전의 LG’로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LG의 ‘조용한 전략’이 기업문화와 맞닿아 있다고 분석한다. 화려한 선언보다 내실을 중시하는 전통이 여전히 조직 전반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AI가 산업을 넘어 국가 전략으로 자리 잡은 지금, 조금 더 적극적인 행보로 LG의 AI 경쟁력을 더욱 어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산업 관계자는 “LG의 기술력은 충분하지만, 시대는 기술만으로 평가하지 않는다”며 “리더의 메시지와 기업의 서사가 투자와 인재, 브랜드 이미지를 결정하는 시대”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