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확충에 팔을 걷어붙였다.
시는 올해 12월까지 총 26억원을 투입해 어린이보호구역 62개소에 경보등(노란 신호등)과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대폭 추가 설치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경보등 3개소, 바닥형 보행신호등 59개소가 신규 설치되며, 적색잔여시간표시기 83개소도 교체된다.
이는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위험 분석과 현장 실사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안전 강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설치 대상 지역은 보행량이 많고 사고 위험도가 높은 만수북초, 계양초, 부곡초, 청학초 등 주요 초등학교 인근 어린이보호구역이다.
특히 시야 확보가 어렵고 시인성이 필요한 지점을 중심으로 집중 배치된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어린이의 등·하굣길 안전 체감도를 크게 높이고, 교통사고 예방 효과 역시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434개 어린이보호구역에 신호등을 설치해왔으며, 지난해에도 83개소에 경보등과 바닥형 신호등을 도입한 바 있다.
올해는 보다 정밀한 위험도 평가와 현장 실사를 기반으로, 선제적 대응형 안전시설 구축에 나선 것이 특징이다.
특히 노란 불빛의 경보등은 운전자에게 어린이보호구역 진입을 직관적으로 알리고,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어린이 눈높이에 설치돼 신호 인지도를 높여 무단횡단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색잔여시간표시기는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남은 신호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해 사고 위험을 줄인다.
김인수 인천시 교통국장은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기 설치는 단순한 시설 공사가 아닌, 미래 세대의 안전을 위한 중대한 투자”라며 “앞으로도 인천경찰청, 교육기관, 군·구와 협력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