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제보팀장의 의뢰로 최근 캄보디아 등 동남아 국가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발생한 범죄 사건과 관련해 국민 인식을 조사했다.
최근 동남아 국가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범죄가 해당 지역에 대한 여행 수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조사 결과 응답자의 10명 중 8명 이상인 82.4%가 이번 사태가 동남아 국가 해외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특히 만 18~29세 청년층에서는 88.3%로 집계되어 다른 연령대 대비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번 사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 방식에 대해서도 국민적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범죄에 어떤 대응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물은 결과, '현지 정부와 협력 및 공조 수사에 집중'이라는 의견이 34.7%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어서 '외교 채널을 통한 강력 항의 및 재발 방지 협약 추진'이 27.5%를 차지했으며, '군사작전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 역시 25.2%로 적지 않은 비율을 보였다.
사건 발생 후 외교부의 초동 대응에 대한 평가 역시도 절반 이상인 56.0%가 '잘못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잘했다는 응답(35.9%) 대비 18.6%포인트 앞서는 결과였다.
더불어 이전 정부에서 주도한 ‘캄보디아 지원사업’에 졸속 행정이나 이권 개입 등의 비위 행위가 있었을 것이란 일각의 주장에 얼마나 공감하는지 물은 결과, 절반 이상인 57.0%(매우 45.4% + 다소 11.6%)가 공감한다고 응답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35.9%, 전혀 24.6% + 별로 11.2%)보다 21.1%포인트 우세했다.
한편, 향후 경제 협력 관계에서는 다소 실리적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한-캄 경제·개발협력 관계에 대해 절반 이상인 52.9%가 ‘협력은 유지하되 관리·감독을 추가해 개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협력 관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 또한 33.0%로 적지 않은 비율을 보였다.
민간 채용 플랫폼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서는 ‘정부/민간 공동 대응체계 구축’이 43.1%로 가장 많았고 ‘정부 주도 하에 제도 및 채용플랫폼 관리, 감독 강화’가 37.3%로 뒤를 이었다.
끝으로 이번 사건의 피해자인 2030 청년층이 해외 취업 사기에 취약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국내 양질 일자리 부족’이 38.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임금 및 근로환경 불균형’(18.7%), ‘청년고용 정책의 부재’(15.7%), ‘정보 부족’(15.0%)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25년 10월 21일(화) 전국 만 18세 이상 대상으로 무선(100%)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전체 응답률은 4.4%로 최종 504명이 응답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이다. 통계보정은 2025년 9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