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한국국제축산박람회조직위원회(위원장 송석찬)는 지난 15일 (사)대한양계협회(회장 이홍재) 사무실에서 업무 이관식을 갖고 대한양계협회에 행사 관련 업무 일체를 이관했다. 따라서 2023년에 개최될 2023한국국제축산박람회는 (사)대한양계협회가 주관하게 되었으며, (사)전국한우협회, (사)대한한돈협회, (사)한국낙농육우협회, (사)한국오리협회, (사)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가 주최단체로 참여하게 됐다. 이홍재 양계협회장은 “지난 2월, 4년 만에 개최된 2022한국국제축산박람회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무탈하게 끝날 수 있게 노력해준 조직위원회 측에 감사함을 표하고 내년에 개최될 축산박람회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대회로 만들어 축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주관단체를 맡은 양계협회는 곧바로 대행사 선정에 착수하면서 차기 대회 준비에 들어갔다. 차기 박람회는 2023년 9월 6~8일(3일간) 대구EXCO에서 개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개최 예정이던 ‘2019 한국국제축산박람회’가 결국 무기한 연기하기로 결정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에 따른 심각성을 고려해 확산방지를 위한 축산업계의 공동대응 차원에서 긴 장고의 회의끝에 결정됐다. 2019 한국국제축산박람회(이하 KISTOCK) 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송석찬 (사)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 회장)는 긴급 공동주최단체장회의를 갖고긴 논의를 거쳐 심사숙고 끝에 박람회를 무기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17일 파주와 18일 연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이 발생한 가운데 발생농가와 역학 관계에 있는 양돈농가가 경기·강원도에만 국한되지 않고충남, 경북 등의 타 지역 또한 확산 위험 범위에 포함돼 있다. 또한 ASF의 잠복기(4~19일)를 고려할 때, 최초 발생 후 3주간이 가장 중요한 시기라는 점에서 박람회 내 강력한 방역 조치에도 불구 양돈업계에서의 천재지변에 버금가는 ASF의 확산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의 축산 종사자가 모이는 박람회의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그동안 박람회 조직위는 치사율이100%에 달하는 ASF의 국내유입 차단을 위해 선제 대응 조치를 계속해 욌다.중국에서 발생해
폐사율이 100%에 이르는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지난해8월 중국에서 발생한 이래 베트남, 몽골, 캄보디아 등 아시아 주변국으로 확산이 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으로,오는 9월 대구 EXCO에서 개최되는 ‘2019 한국국제축산박람회(이하 KISTOCK)’는 ASF 발생국가의 박람회 참여를 전면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올해로 11회를 맞는 국내 최대 축산전문 전시회인 KISTOCK은 오는 9월 26일(목)부터 28일(토)까지 대구 EXCO에서 개최된다. 이번 KISTOCK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기자재·사료·약품·종축·ICT 등 국내·외의 다양한 축산 관련 기업들의 참가가 이어져 이미 지난 4월에 부스 신청이 조기 마감된 상태. 13일 6개 생산자단체(한우, 한돈, 낙농육우, 양계, 오리, 기자재)가 주축이 되는 KISTOCK 조직위원회는 회의를 통해 “ASF의 국내 유입 원천 차단은 단순히 양돈 농가만의 걱정이 아닌 국내 축산업의 보호 차원임과 동시에 가축 질병에 대한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서도 강력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고심끝에 발병국의 참가를 전면 제한키로 의결했다. 이번 제한 조치는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