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접근이 어려운 해안 지역의 해양쓰레기를 드론으로 운반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며 기술 기반의 스마트 해양환경관리체계 구축에 본격 나섰다.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지난 21일부터 22일까지 옹진군 덕적도 북2리 파래금 해변 일대에서 드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운반 시범사업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해안 접근이 어려워 수거 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시는 최대 300kg의 해양쓰레기를 운반할 수 있는 대형 드론을 투입해 해안에서 운반선까지 쓰레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옮기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인천시는 해안쓰레기 수거 효율을 높이고, 해상작업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범사업이 진행된 덕적도 파래금 해변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접근로가 좁아 기존의 인력 중심 수거 방식으로는 효율적인 처리가 어려운 지역이다.
현재 옹진군은 해안쓰레기 운반선 ‘옹진청정호’를 운항하고 있으나, 해변에서 선박까지의 쓰레기 이송 과정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번 시범운영에서는 드론을 활용해 수거된 쓰레기를 직접 운반선으로 옮김으로써 작업 안전사고 위험을 줄이고, 운반 효율을 크게 높였다.
이번 사업은 인천시가 국토교통부의 올해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 선정된 이후 추진되는 섬지역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시는 해당 실증사업을 통해 섬지역 생활물품 배송, 응급 물자 운송, 해양쓰레기 수거 등 다목적 드론 운용체계를 검증하고, 향후 섬지역 환경관리의 모델 사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인천시는 ‘아이(i) 바다패스’ 제도 도입으로 증가한 섬 관광객 수요와 높아진 시민 환경의식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해양관광 정책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올해 시범사업의 성과를 분석한 뒤, 오는 2026년까지 옹진군 전역의 해안쓰레기 수거 취약지역으로 드론 운용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스마트 해양빌리지 사업과 연계해 드론 기반의 지속가능한 해양환경관리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박광근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푸른 바다를 지키기 위한 드론 활용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인천의 해양환경 관리체계를 기술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며 “드론 기술을 통해 접근이 어려운 해안의 쓰레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해, 깨끗한 바다를 후세에 물려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