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자산운용이 2021년 에코프로 전환사채(CB)에 투자해 막대한 수익을 올렸음에도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아 논란이 커지고 있다. 회사는 약 100억 원을 투입해 1년 7개월 만에 400%가 넘는 성과를 기록했고, 이 과정에서 300억 원 안팎의 차익을 확보했다. 전환가액이 리픽싱으로 낮아지면서 주식 확보 물량이 늘어난 점도 수익률을 높이는 요인이 됐다. 업계 기준으로 보면 20% 성과보수를 적용할 경우 약 60억 원이 인센티브로 책정됐을 수 있으며, 절반을 유보한다 해도 수십억 원은 실무진에 돌아갔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한운용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를 이유로 2년 가까이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았다. CB 발행과 전환 절차가 감독당국의 조사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했다는 설명이지만, 실제로 그 기간 동안 별다른 제재나 분쟁은 없었다. 이에 따라 회사가 위험을 핑계 삼아 성과를 내부에 묶어둔 것 아니냐는 불신이 확산됐다.
성과급이 미뤄지자 인력 유출이 이어졌다. 투자를 총괄했던 리더가 먼저 회사를 떠난 뒤 핵심 실무자 두 명도 잇따라 퇴사했고, 남아 있던 직원마저 보상을 받지 못한 채 회사를 떠나면서 해당 팀은 사실상 해체됐다. 신한자산운용과 신한대체투자운용 합병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조직이 재편된 측면도 있지만, 업계에서는 성과급 지급이 지연된 것이 인력 붕괴의 직접적 요인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보수 분쟁을 넘어 은행·증권 계열 운용사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사례로 받아들여진다. 이들 조직은 개인의 성과보다 회사 브랜드와 리스크 관리 능력에 비중을 두는 문화가 강해 성과보수가 온전히 실무진에게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잦다. 신한운용 사례는 이러한 관행이 극단적으로 드러난 경우로, 업계에서는 “성과는 회사가 챙기고 책임은 직원에게 지워지는 구조라면 장기적으로 인재 유출은 피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