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틱 증상 보이는 우리 아이, 조기 치료 필요한 이유

 

최근 들어 아이가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코를 킁킁거리는 행동을 반복한다며 병원을 찾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귀엽고 평소 활발하던 아이가 갑작스럽게 이상 행동을 보일 경우, 부모 입장에서는 당황스럽고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 ‘틱장애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면 걱정이 앞서게 된다.

 

틱(Tic)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신체 움직임이나 소리를 말한다. 흔히 아이가 스스로 멈추려 해도 조절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순한 습관과는 구별된다.

 

틱 증상은 크게 운동 틱과 음성 틱으로 나뉜다. 운동 틱은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얼굴을 찡그리는 행동, 어깨 들썩이기, 고개 돌리기처럼 신체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초기에는 단일 행동에 그치지만, 점차 여러 부위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음성 틱은 킁킁거림, 헛기침, 특정 소리나 단어를 반복하는 형태다.

 

이는 평소보다 긴장되거나 피로한 상태일 때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는 증상이 덜하거나 사라지기도 한다. 그러나 즐거운 자극이라고 해도 뇌를 지나치게 흥분시킬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틱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다. 뇌 신경계의 기능 이상을 포함해 유전, 심리, 환경 요인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신경 질환이다.

 

함소아한의원 수원영통점 변순임 원장은 “틱장애는 초기에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시적인 증상은 스스로 호전될 수도 있지만, 1년 이상 지속되거나 복합 틱으로 발전할 경우 반드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틱이 심해지면 또래 관계에서 위축되거나 학습 집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증상이 만성화되거나 새로운 틱이 더해지면서 아이의 생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서적인 안정을 돕고 학교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조기 진단과 치료가 권장된다”고 전했다.

 

변순임 원장은 “한의학에서는 틱 증상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하는 치료가 가능하다. 뇌신경의 흥분 상태를 완화하고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는 한약 치료, 근육 긴장을 풀고 순환을 돕는 침·부항 요법, 신체 정렬을 바로잡는 추나 치료까지 통합적으로 적용된다. 특히 추나 치료는 척추와 턱관절, 경추의 정렬을 개선함으로써 신경계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생활 환경의 조정 역시 중요한 요소다. 스마트폰이나 유튜브 영상처럼 자극이 강한 콘텐츠는 뇌의 흥분도를 높이므로 시청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아이의 틱을 자주 지적하거나 과도한 관심을 보이는 것도 피해야 하며, 특정 음식이나 스트레스 요인과 연관된 상황은 사전에 파악해 회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틱 증상은 일부 아이들에게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진료가 필요하다. 아이의 건강한 정서와 일상 회복을 위해 한의학적 치료도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