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의 소상공인 지원 체계가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43만 명이 넘는 소상공인이 사실상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천의 소상공인 수는 약 43만 명으로 전국 5위 규모다.
경기, 서울, 부산, 경남에 이어 많은 수치지만, 이들을 지원하는 소상공인시장진흥센터는 단 2곳(북부·남부센터)에 불과하다.
센터 직원도 19명뿐으로, 광역시 중 최소 수준이다.
인천보다 소상공인이 적은 대구(33만 9000명)와 광주(20만 1000명)도 각각 3개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인천의 인프라 부족이 얼마나 심각한지 드러난다.
센터 인력 부족으로 인해 직원 1명이 담당해야 하는 소상공인 수는 2만 2632명으로 전국 평균(1만 6895명)보다 34% 많았다.
서울(2만 8166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현장 밀착형 지원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진공 센터 직원들은 전통시장 지원, 소상공인 교육, 화재·안전점검, 재난 복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인력난으로 인해 업무 과중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황은 인력 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7월 기준 인천 소진공 센터의 퇴사율은 10.34%로, 전국 평균(4.04%)의 2.5배에 달했다.
울산(11.11%)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은 지역 경제의 허리를 떠받치고 있는 수많은 소상공인이 있지만, 정작 이들을 위한 지원 조직과 인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정부는 인천처럼 소상공인 규모와 지원 인프라 간의 불균형이 심각한 지역에 대해 조직 개편과 인력 확충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