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가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한 경기형 창의·융합체험 ‘융·프·라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안성·수원·화성오산교육지원청 소속 7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돼 미래형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체험 중심 교육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융·프·라 프로그램은 경기도교육청이 2007년부터 매년 운영해 온 창의·융합형 체험 교육 사업으로, 도내 31개 대학과 전문기관 등이 참여해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융·프·라는 ▲융합(融合) ▲프로그램(Program) ▲쌓아감(摞)의 의미를 담아, 교육 현장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쌓아가는’ 과정을 상징한다.
올해는 운영기관을 전년 대비 확대해 총 31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약 5400명의 학생이 참여하는 등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도교육청은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사전 협의회를 열고 차량 임차, 체험 비용, 강사 섭외, 안전 인력 지원 등 학교의 행정 부담을 줄이는 지원책도 병행했다.
수원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는 이번 프로그램에서 ▲나만의 디자인 프린팅 ▲인공지능 개발자 등 두 가지 체험 교육을 진행했다.
나만의 디자인 프린팅은 승화전사 원리를 활용해 컵과 에코백 등에 직접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디지털 디자인과 인쇄 기술을 익히며 자신만의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인공지능 개발자는 아두이노와 코딩을 활용한 스마트팜 실습 및 로봇 저금통 제작 체험으로 구성됐다.
학생들은 전자 회로 조립과 프로그래밍을 통해 과학기술 기반 창의력을 키우며 실습 중심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했다.
수업을 마친 학생들은 “직접 만든 작품이 작동할 때 뿌듯했다”, “미래에 이런 기술을 더 배우고 싶다”는 소감을 전하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임선홍 수원대학교 부총장(창업지원단장)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체험할 수 있었던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역 교육기관과 협력해 미래세대의 창의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에 선정된 전문랩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누구나 시제품 제작과 창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 공간이다.
첨단 장비와 전문 인력을 갖추고 다양한 창업·제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사회의 창의적 제작문화 확산에도 앞장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