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창군이 농촌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2025~2034)’을 확정했다.
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 70억원을 투입해 정주 여건 개선과 생활 인프라 확충에 박차를 가한다.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은 지난해 3월 시행된 관련 법률에 따라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순창군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5개 시범 지자체 중 하나로 선정돼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번 성과는 그 결과물이다.
군은 ‘생활·정주·경제가 융합되는 모두가 행복한 상생순창’을 비전으로 6대 추진 전략과 13대 세부 과제를 마련했다. 농촌특화지구 활용, 농촌경제 활성화, 정주 환경 개선, 생활서비스 확충 등이 핵심이다.
특히 복흥·쌍치·구림면 등 북서부 지역에는 복지·문화 서비스 기능을 집중 보강하고, 인구 과소화 문제를 겪는 배후마을에는 16개 작은 거점을 육성해 지역 불균형을 해소할 방침이다.
순창군은 이미 지난 3월 110억원 규모의 농촌특화지구 공모사업, 5월 370억 원 규모의 농촌협약 공모사업에 전북에서 유일하게 선정되는 성과를 올렸다.
이를 통해 향후 10년간 수백억 원대의 정책 투자가 추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최영일 순창군수는 “이번 기본계획은 순창의 10년 미래를 준비하는 성장 전략”이라며 “지속 가능한 농촌다움 회복과 균형 발전을 위해 재정 투입과 정책 연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군은 오는 12월까지 북서부 재생활성화 지역 및 농촌특화지구 세부 지정 등을 포함한 최종 시행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