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올해를 공공 인공지능(AI) 전면 도입의 원년으로 삼고 ‘공공부문 AI 대전환(Gov AX) 종합대책’과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목표는 2030년까지 공공부문 AI 도입률 95%, 나아가 ‘AI 3대 강국’ 도약이다.
이 같은 정책 흐름 속에서, 거창한 플랫폼 구축이 아닌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작은 AI 전환 도구’를 도입하는 움직임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주)퍼널모아(대표 채찬)가 제공하는 ‘사이드톡(sidetalk.kr) AI 챗봇’ 역시 그 한 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100개 이상 업체에서 이 서비스를 도입해 고객 응대 자동화에 활용하고 있다.
퍼널모아 관계자는 “정부는 최근 경제·산업·공공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AI 대전환(AX) 청사진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며 “사이드톡은 기업·기관 입장에서 AI 전환이 여전히 추상적인 구호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규모 예산과 인력이 필요한 프로젝트보다, 콜센터·게시판·문의 폼 등 당장 눈앞의 업무부터 바꾸려는 수요가 먼저 표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퍼널모아 측에 따르면 이 챗봇은 별도의 복잡한 시나리오 작성 없이, 사이트가 이미 보유한 다음과 같은 자료를 활용한다.
이용 안내, 매뉴얼, 정책 문서, 자주 묻는 질문(FAQ), 공지사항·블로그·게시판 글, 각종 문의·신청 폼에 쌓인 텍스트 데이터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챗봇 버튼을 눌러 질문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이 자료들 가운데 관련성이 높은 내용을 우선 찾아내고, 그 위에 생성형 AI를 얹어 자연어 답변을 구성한다.
퍼널모아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사전 정의된 몇 개의 버튼을 누르는 기존 챗봇이 아니라, 실제 상담원과 채팅하듯 질문을 던지고 답을 받는 경험을 하게 된다” 며 “코딩 지식이 없는 운영자도, 플러그인 설치나 스크립트 삽입 수준의 연동으로 챗봇을 띄울 수 있다는 점에서 대규모 시스템 구축과 일상적 AI 활용의 사이를 메우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