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0.3℃
  • 구름많음강릉 7.2℃
  • 맑음서울 4.2℃
  • 구름조금대전 2.8℃
  • 구름많음대구 7.9℃
  • 구름조금울산 6.6℃
  • 구름조금광주 6.2℃
  • 구름조금부산 9.9℃
  • 구름많음고창 5.3℃
  • 구름많음제주 10.8℃
  • 맑음강화 3.5℃
  • 흐림보은 1.0℃
  • 흐림금산 0.6℃
  • 맑음강진군 8.3℃
  • 맑음경주시 7.3℃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공지사항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66 한국농수산대학 2026학년도 신입생 모집 김세정 2025/08/12
165 알기쉬운 음식점 원산지 확인 팁! 김세정 2025/07/03
164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 김세정 2025/03/25
163 2025 민간투자기반 스케일업 지원사업 김세정 2024/11/26
162 낙농목장 환경개선 노력은 대한민국 낙농의 경쟁력과 자신감 김세정 2024/11/06
161 동물용의약품 올바르게 김세정 2024/11/01
160 우리 축산물 알고 먹고! 믿고 먹고! 축산물이력제 김세정 2024/10/16
159 한국농수산대학교 2025학년도 신입생 모집 김세정 2024/08/14
158 2024년부터 달라진 농업경영체 등록제도 김세정 2024/05/27
157 ASF 확산차단, 농장에서 예방활동이 중요합니다 김세정 2023/12/27
156 2024년 기본형 공익직불제도 김세정 2023/12/20
155 단백질, 미네랄 복합영향 특허제품-그로피드프로테인 김세정 2023/12/19
154 이제 축산도 스마트팜 하세요! 김세정 2023/12/15
153 종자원, K-종자산업 발전을 이끌어 갑니다! 김세정 2023/12/14
152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한우가격 안정! 김세정 2023/11/17
151 2024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김세정 2023/11/16
150 우리축산물 알고 먹고! 믿고 먹고! 축산물이력제 김세정 2023/11/06
149 구제역백신 일제 접종 후 항체 모니터링 실시 김세정 2023/10/27
148 2023 한국홀스타인품평회 김세정 2023/09/12
147 공익직불금 100% 받는법 김세정 2023/06/30


축산

더보기
우즈벡 축산현장에서 빛난 K-낙농 기술, 중앙아시아 수출 교두보 마련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하 농진원)은 6일부터 7일까지 이틀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및 시르다리야 지역에서 ‘K-낙농기술 국제 콘퍼런스’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한국의 우수 낙농기술을 홍보하고, 중앙아시아 독립국가연합(CIS) 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우즈베키스탄 시르다리야 주 주지사, 수의축산위원회 위원장, 축산연구소 소장 등 중앙아시아 4개국(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의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현지 바이어, 축산농가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했다. 우즈베키스탄은 2023년 기준 축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13%, 농업 GDP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목축산업 비중이 높은 국가다. 그러나 단위 젖소의 산유량은 한국의 1/4 수준에 그쳐 기술 격차가 크다. 이에 따라 한국의 낙농기술은 우즈베키스탄 축산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주요 협력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농진청과 농진원은 우수 낙농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의 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인하고, 올해 현지에서 ‘K-낙농 기자재 패키지 실증사업’을 착수했다. 이번

농림/산림

더보기
어기구 위원장, 소나무재선충병 국가 방제 성공전략 세미나 개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농해수위 ) 어기구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 충남 당진시 ) 은 10 일 , 국회 의원회관 제 4 간담회의실에서 「 기후재난 시대 , 소나무재선충병 국가방제 성공전략 세미나 」 를 개최했다 . 이번 세미나는 기후위기 심화로 확산 양상이 복잡해진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정책을 전면 재점검하고 , 정부 · 지자체 · 전문가 · 시민단체 등이 함께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국가방제전략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행사에는 산림청을 비롯해 학계 , 연구기관 , 현장 전문가 ,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30 여 명이 참석했으며 ,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제정책 수립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 발제를 맡은 정종국 강원대 교수는 " 외래종 관리 이론에 기반한 소나무재선충병 대응전략 수립 방향 " 을 주제로 소나무재선충병 대발생의 원인을 분석하여 해외의 다양한 방제전략을 설명했다 . 정 교수는 “ 기후변화에 따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 등의 매개충의 분포변화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이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 면서 “ 우리나라의 방제정책도 국제사회의 생태계 복원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