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5℃
  • 구름조금강릉 6.2℃
  • 구름조금서울 2.9℃
  • 구름많음대전 5.0℃
  • 구름많음대구 7.5℃
  • 구름많음울산 8.0℃
  • 구름많음광주 6.9℃
  • 맑음부산 8.2℃
  • 맑음고창 6.4℃
  • 제주 10.9℃
  • 맑음강화 2.5℃
  • 구름조금보은 4.7℃
  • 구름많음금산 5.2℃
  • 구름많음강진군 7.9℃
  • 구름조금경주시 7.5℃
  • 맑음거제 8.0℃
기상청 제공

무릎인공관절수술, '이런 증상' 있다면 고려.. 수술 후에는 가벼운 운동도 가능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에 통증이 생기고,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 관절이 뻣뻣해져 다리를 펴는 것이 불편하다면 무릎 관절을 더욱 신경 써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나이가 들수록 무릎 관절의 불편함은 점점 더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처음에는 단순한 피로감이나 근육통으로 여겨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도 한다.

 

그렇지만 반복되는 불편함 및 통증은 무릎 조직 손상의 신호일 수 있으니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다. 무릎 관절은 움직임도 많은 데다가 체중도 부하하고 있어 퇴행성 변화가 일찍 시작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관절염은 무릎 골연골이 닳으면서 뼈끼리의 충돌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무릎관절염 환자는 무릎에 통증을 느끼고, 염증 및 부종 등의 증상을 겪는다. 심할 경우 다리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등 다리 모양에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릎관절염 치료는 무릎 골연골의 손상 정도에 따라 각각의 치료를 적용한다. 질환 초기 및 중기의 환자는 질환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치료를 시행하는데, 대부분의 환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 요법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이 나타난다. 무릎 골연골의 손상이 심한 편이라면 연골의 재생을 유도하는 줄기세포 카티스템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으며, 다리가 바깥쪽으로 많이 벌어진 상태라면 다리를 곧게 만들어주는 근위경골절골술 수술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 골연골의 손상이 심각하고, 무릎뼈에도 손실이 생긴 무릎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극심한 무릎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하는 것이 어렵다. 이런 경우 무릎관절에 특수 제작된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무릎인공관절수술 시에는 무릎뼈 끝에 남아있는 골연골을 모두 제거한 후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손상된 관절의 일부만 대체하거나 전체를 대체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전했다.

 

이어 “무릎인공관절수술 후에는 보행 능력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릎 관절의 경직을 방지하고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재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재활을 꾸준히 하면 6개월 후부터는 가벼운 운동도 충분히 할 수 있게 된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