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0.3℃
  • 맑음강릉 6.1℃
  • 맑음서울 2.5℃
  • 구름많음대전 5.0℃
  • 구름많음대구 7.0℃
  • 맑음울산 7.3℃
  • 맑음광주 6.2℃
  • 맑음부산 7.7℃
  • 구름많음고창 6.3℃
  • 제주 10.7℃
  • 맑음강화 2.2℃
  • 흐림보은 4.3℃
  • 구름많음금산 4.9℃
  • 맑음강진군 7.4℃
  • 구름조금경주시 7.1℃
  • 구름많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서 있기만 해도 다리 당긴다면...척추관협착증 경고 신호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현대인이 증가하는 요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는 척추관협착증이다.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허리에만 머무르지 않고, 오히려 허리 통증보다는 서 있거나 걷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종아리 쪽으로 퍼지거나, 오래 걷지 못하고 자주 쉬어야 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주안역성모마디척의원 문광욱 대표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척추를 지지하는 조직이 두꺼워지거나 공간이 좁아지는 변화들이 겹치면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통증이 깊어질수록 신경 주변 조직의 긴장이 지속되며 다리 힘이 떨어지는 느낌이 생길 수 있어 서둘러 접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좁아진 신경 통로를 위한 비수술적 케어 방법이 있다”고 강조한다. 대표적으로 신경 치료와 도수치료가 있으며 충격파, 온열, 전기 자극 등을 활용한 물리치료 또한 긴장된 조직을 이완시키고 회복 흐름을 돕는 방식으로 적용된다“고 전했다.

 

치료 전에는 근육의 긴장도와 체형 변화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물리치료를 병행해 회복 속도를 높인다. 초기에는 통증 완화와 정렬 회복에 집중하고, 이후에는 교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안정화 단계를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문광욱 원장은 “이러한 통증을 가볍게 넘기지 않고 차분히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몸의 균형을 회복하는 첫걸음이 되며, 필요한 케어를 적절한 시점에 이어가면 움직임은 점차 안정되고 하루의 리듬 역시 한층 부드러워질 수 있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