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해상풍력 산업의 중심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오는 2030년까지 정부가 추진 중인 14.3GW 해상풍력 보급 목표가 달성될 경우, 최대 36만개에 달하는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최근 발간한 해상풍력과 일자리 창출 효과 정책보고서를 통해 “해상풍력 산업은 탄소중립과 일자리,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미래 성장동력”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4.3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이 실현될 경우 약 35만7,500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제조업 35% ▲건설업 35% ▲운영·정비(O&M) 20%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O&M 분야는 20년 이상 장기 고용이 가능한 안정적 일자리로 평가된다.
허 의원은 “인천은 항만과 조선·플랜트 등 기존 해양산업 기반이 탄탄해 해상풍력 산업의 최적지”라며, “지역 기업과 인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고서는 해상풍력의 성장 가능성과 함께 국산화 및 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도 지적했다.
현재 터빈, 블레이드 등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 국내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해외로 유출될 우려가 있으며, 전문 인력 부족 또한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이에 허 의원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R&D 투자와 규제 완화에 나서야 한다”며, “대학·연구기관과 연계한 전문 인력 양성체계 구축을 통해 해상풍력이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축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의원은 또 “인천이 해상풍력의 중심 도시로 성장하면 조선, 기계, 전력 등 관련 산업 전반에도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며 “바람이 에너지가 되고, 그 에너지가 우리 청년과 지역의 일자리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