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만성콩팥병 환자가 최근 10년간 급격히 늘면서 경제활동인구(15~65세)에서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질환 심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국가 생산성 저하와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보건복지위원회, 비례대표)이 대한신장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인구 내 만성콩팥병 환자는 지난 2015년 8만 6356명에서 지난해 12만 1821명으로 41.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요양급여비용은 7666억원에서 1조 401억원으로 35.7% 늘어났다.
질병 단계별 사회경제적 비용도 심각한 수준이다. 1기 환자의 비용은 약 1893억원에 불과하지만, 4기에서는 2조 5337억원, 말기신부전 단계에서는 20조원을 넘어섰다.
특히 말기 단계에서는 직접의료비뿐 아니라 입원·외래 진료 시간 손실, 조기사망에 따른 생산성 손실 등 간접비용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기신부전 환자는 주 3회 이상의 정기 투석으로 경제활동이 제한되면서 실직과 소득 감소 등 개인·가정의 부담이 가중된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국가 차원의 사회적 지원체계 미비와 맞물리며,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만성콩팥병의 주요 원인질환은 당뇨병(43.4%), 고혈압(23.9%), 사구체신염(9.6%)으로, 전문가들은 원인질환 단계에서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최 의원은 “경제활동인구에서의 확산은 단순한 의료비 문제가 아니라 국가 성장잠재력과 재정 건전성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라며 “정부는 주요 원인질환부터 관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암과 같은 국가기본계획을 수립해 중장기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분석은 만성콩팥병 예방과 조기 관리 강화,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국민 건강 증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 필요성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