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 양계분야 양허제외 반드시 관철돼야 축산업의 생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전달해주는 “라이브뉴스”의 7번째 생일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적인 뉴스를 쉽게 접하는 이 시대에 ‘라이브뉴스’는 국내 최초의 축산 인터넷 신문으로써 축산인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매체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또한 생생한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까지 톡톡히 하면서 살아있는 매체의 힘을 느낄 수 있어 항상 고마움을 갖고 있습니다. 금년부터 축산업허가제, 축산계열화사업법 등이 본격 시행되고, 동물복지 인증이 지난해 산란계를 시작으로 금년에는 돼지, 내년에는 육계에 인증제도가 도입되는 등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년 초부터 시작된 한·중 FTA가 7차 협상을 통해 1단계협상이 끝났고 2단계협상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 EU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가격면에서 우리나라보다 유리한 조건에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가까워 맘만 먹으면 컨테이너로 하루에도 국내에 도착할 수 있는 여건에 놓여있습니다. 냉동제품은 물론 냉장제품까지도 들어올 수 있다는 게 미국과 EU와의 차이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본회는
“녹색성장은 물론 사회보장, 환경보호 등도 앞으로 한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세계적 경제학자이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특별 자문관으로 잘 알려진 미국 콜롬비아대 제프리 삭스(58·Jeffrey Sachs) 경제학과 교수는 14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2층 국제회의장에서 가진 한국인터넷기자협회(회장 김철관) 공동취재단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미래 한국이 당면한 과제에 대해 같이 말했다. 제프리 삭스 교수는 앞서 지난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국회 아프리카 새시대 포럼(이사장 이주영 새누리당의원) 주최로 열린 '아프리카 새시대 실현 방안과 한국의 역할' 이란 주제 강연에서 아프리카 진출을 서두르라면서 아프리카에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응용했으면 한다고 말한 바 있다.다음은 삭스 교수와의 일문일답이다. - 지난 11일 국회 강연에서 아프리카 전략을 설명하면서 한국이 아프리카 진출을 서두르라고 했고, 아프리카에 한국의 새마을운동 응용을 언급했는데, 새마을운동을 특별히 언급한 이유가 있나. “한국의 새마을운동은 어떻게 가난한 나라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해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이 됐다. 새마을 운동은 그런 지식들을 공유할 수 있는 방